Home 네트워크 OSI 7계층
Post
Cancel

네트워크 OSI 7계층

네트워크의 기본 OSI 7계층

  • 네트워크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표준 네트워크 모델
  •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파악하기 위해 사용
  • 모든 시스템들의 상호 연결에 있어 문제없도록 표준을 정한 것
  • 특정한 곳에서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다른 단계의 장비 및 소프트웨어 등을 건드리지 않는 선에서 해결이 가능하다.

blog2


1계층 (Physical Layer)

  • 물리 계층
  • 전기적, 기능적, 기계적인 특성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
  • 주소 개념이 없으며 물리적으로 연결된 노드 간에 신호를 주고받는다.
  • 데이터 전달의 역할만 함, 오류 제어 불가능
  • 예시
    • 허브
    • 네트워크 어댑터
    • 통신 케이블
    • 리피터

2계층 (DataLink Layer)

  • 데이터 링크 계층
  • 물리 계층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상의 주변 장치들 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
  • 물리 계층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하여 안전한 정보의 전달을 도와주는 역할
  • 통신에서의 오류를 찾아주는 기능
  • 재전송 기능
  • 맥주소를 가지고 통신
  • 예시
    • 네트워크 브릿지
    • 스위치

3계층 (Network Layer)

  • 네트워크 계층
  •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기능(라우팅)
  •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고, 주소(IP)를 정하고, 패킷을 전달해주는 역할
  • 예시
    • 라우터
    • L3 스위치

4계층 (Transport Layer)

  • 전송 계층
  • 종단 간 신뢰성 있고 정확한 데이터 전송을 담당 (end-to-end)
  • 종단의 구체적인 목적지까지 데이터가 도달하게 함
  • 오류 검출 , 복구 , 흐름 제어 수행
  • 포트 번호를 사용, 보통 TCP 프로토콜을 이용
  • TCP 프로토콜
    • 신뢰적인 전송을 보장
    • 연결지향적
      • 연결 관리를 위한 연결설정 및 연결해제 필요
  • UDP 프로토콜
    • 신뢰성이 낮은 프로토콜
    • 비연결성
    • 순서화 되지 않은 Datagram 서비스 제공
    • 실시간 응용 및 멀티캐스팅 가능
    • 헤더가 단순함
  • 예시
    • L4 스위치

5계층 (Session Layer)

  • 세션 계층
  • 응용 프로그램간의 데이터가 통신하기 위한 논리적인 연결 생성 및 제어
  • 통신 장치 간 상호작용 및 동기화를 제공
  • 연결 세션에서 데이터 교환과 에러 발생 시의 복구를 관리
  • TCP/IP 세션을 만들고 없애는 책임을 가짐

6계층 (Presentation Layer)

  • 표현 계층
  • 데이터 표현방식을 정하는 역할
  • 송신자에서 온 데이터를 해석하기 위한 응용계층 데이터 부호화
  • 수신자에서 데이터의 압축을 풀 수 있는 방식으로 된 데이터 압축
  • 데이터의 암호화복호화

7계층 (Application Layer)

  • 응용 계층
  • 최종 목적지로서 HTTP, FTP, SMTP 등과 같은 프로토콜이 있음
  • 사용자와 가장 밀접한 계층으로 사용자가 네트워크 자원에 접근하는 인터페이스 역할

문제

  • end to end vs node to node
  • TCP / UDP
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.0 by the author.